최근에는 MSWord를 사용하는 경우도 꽤 잦아졌지만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아래한글 (Hwp)프로그램을 대다수의 공공기관이나 사기업 등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엑셀이나 다른 오피스 프로그램들은 아직 MS에 비하기는 어려움이 있고, 다른 프로그램들과의 호환성의 문제도 있지만, 그래도 한글로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로는 국산 프로그램인 아래한글을 사용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단축키가 너무 손에 익어서 바꿀수가 없네요.)
현존하는 PDF 프로그램들중에서 가장 한글 및 아래한글프로그램과의 호환성 혹은 연동성이 높은 프로그램은 개인적으로 국내에서 개발한 ezPDF가 아닌가 싶습니다. 최근 3.0이 나오면서 인터페이스도 직관적이고 깔끔한 모습을 보여서 개인적인 사용으로는 가장 추천할만한 프로그램이 아닌가 싶습니다.
2020/05/30 - [분류 전체보기] - ezPDF Editor 3.0 다운로드 빠르게 받는 법
2020/06/20 - [분류 전체보기] - ezPDF3.0 PDF 매개변수가 틀립니다. 오류 문제 해결
2020/06/23 - [분류 전체보기] - ezPDF reader 2.0g 다운로드 (업데이트 3.0/ 링크 有)
무엇보다도 저의 가장 최애기능은 hwp>PDF 파일변환 및 PDF>hwp 파일변환기능입니다.
물론 hwp에서 직접 프린팅을 이용한 pdf로도 ezPDF를 이용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애용하는 hwp의 PDF 화 및 이후 간편한 변환을 하는 방법 그리고 변환 후에 퀄리티 등에 대해서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HWP → PDF 변환
일단 변환시키고자 하는 hwp 파일을 준비합니다.
(저는 공무원연금공단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이용해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우측 클릭을 해서
ezPDF Editor로 PDF 변환 기능을 사용하면
즉시 PDF 변환이 시작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인쇄 중입니다' 메시지가 나오며
6쪽 기준 1~2초면 변환이 완료됩니다.
이후 자동으로 PDF 파일이
ezPDF 프로그램에서 열리게 됩니다.
변환된 파일은 좌측 상단의
저장 (Ctrl + S) 파일을 눌러서
파일을 저장해줍니다.
(파일명을 지정해주셔야합니다.)
2. PDF → HWP 변환
PDF 파일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PDF 파일을 사용하다가 이후
한글 파일로 다시 바꾸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PDF 파일을 연 이후에
우측 상단의 '파일' > 'HWP로 저장'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다른 형식으로 저장 메뉴가
팝업이 됩니다. 한글에 선택이 되어 있다면,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hwp 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해서 확인을 눌러주면 끝!!
처음 hwp 파일을 PDF로 변환하고
이후에 다시 hwp로 변환하였습니다.
3. 변환된 HWP 파일의 퀄리티!!!
변환된 파일은 아래와 같은데요.
좌측이 원본이고, 우측이 두차례 변환을 통해서
다시 만들어진 hwp 파일입니다.
약간의 차이는 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글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폰트는 다시 재생되어 그대로
hwp 파일에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ezPDF 파일을 이용해서 PDF 파일을 만드는 방법과
PDF파일을 다시 hwp로 만들어보았는데요.
개인적으로 원본보다 오히려 퀄리티가 더 깔끔하고 예뻐진 것 같은
느낌까지도 받았습니다. 만일 자주 hwp나 PDF 파일을 이용하신다면
한번쯤 꼭 이용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댓글 영역